본문 바로가기

공학지식20

[전자] 디지털 회로, 논리회로에 대해서 디지털 회로와 논리회로! 같은듯 미묘하게 다른 개념 ◈디지털 회로는?? -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의 두 가지 값을 가지는 이진수로 표현됩니다. 이진법으로도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전자공학에서 디지털 회로는 주로 컴퓨터, 통신 시스템,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디지털 회로에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논리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AND, OR, NOT, NAND, NOR, XOR 등의 다양한 논리 게이트가 있으며, 이러한 논리 게이트를 조합하여 복잡한 디지털 회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회로에는 레지스터, 카운터, 멀티플렉.. 2023. 5. 10.
[전력, 전자] 전력에서 교류발전과 3상을 사용하는 이유 교류발전과 3상 교류 발전의 이유 ◈전기, 전력 쪽을 공부하면서 느끼던 의문이 있었습니다. 왜 교류지? 왜 3상을 사용하지? 너무도 당연해서 별 다른 생각 없이 지나쳤으나 이번 기회에 정리하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언제나 그렇듯 최대한 간략하게 적고자 합니다. ◈ 교류 발전? 직류 발전? - 우선 교류로 발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선 변압의 용이성입니다. 일단 저 멀리서 발전되어 나온 전기가 수천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손실을 막기 위해서 특고압으로 전기가 이동합니다. 전압이 낮으면 수천km의 저항 성분때문에 제대로된 전기가 가정까지 도달할 수가 없습니다. 일단 넘어왔다고 쳐도.... 특고압으로 넘어온 전기를 가정 근처에서 변압을... 해야하는데 이때 교류 변압기가 더 구조도 간단하고 용량.. 2021. 9. 26.
[전력시스템] 무효전력, 유효전력, 피상전력 뜻과 개념 정리 손실이 나면 무효전력! 피상전력은 만들어지는 전력, 유효전력은 실제 쓰이는 전력 ◈매 포스팅마다 언급하겠지만 수식적인 이해보다는 내가 이해한 내용의 개념위주로 정리하겠습니다. 자세한 수식은 언제나 서적으로 공부하는게 베스트입니다. 다만 혹시 이 포스팅을 볼 분들에게 '개념적'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싶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전력이 만들어지는 손실 등과 얼만큼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이다. ◈저 멀리서 바닷가 근처에서 만들어진 전기, 전력은 어마 무시하게 길고도 긴 고압선들을 타고 도심까지 온다. 필연적으로 그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론적이라면 만들어진 전력과 우리 도심 근처에서 쓰이는 전력이 같겠지만(이론상 같다고 본다. 단위는 물론 다르다) 현실에선 도선의 .. 2021. 8. 27.
[전력시스템] 배전(配電, electric power distribution)과 전력 그리드 배전, 고전압 전기들이 변전소에서 강압 후 각 가정으로 들어가는 과정 ◈발전소에서 전기가 생산되었고, 송전탑에 즐비한 전선들에 의해 승압되어 특고압으로 넘어오는걸 송전이라고 하며 넘어온 뒤, 2차 변전소에서 강압되어 배전용 전선소에 공급되고, 강압된 전기가 각 가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배전이라고 합니다. 발전소에서 각 라인을 걸쳐 22.9KV까지 내려온 특고압의 전압이 전봇대까지 도달합니다. 전봇대 위에 달려있는 저런 깡통...?을 주상변압기라고 한다. 변압기로 내려오게 되고, 220/380V의 저압 전력으로 강압되게 됩니다. 이렇게 된 경기가 각 수용가로 전달됩니다. (페러데이 법칙으로 전압 유도는 나중에 추후 포스팅하겠습니다.) 이런 배전 시스템과 송전 시스템까지 합쳐서 전력 그리드 혹은 그리드라고도 .. 2021. 7. 13.
[전력 시스템]송전, 送電, electric power transmission 전력과 관련된 개념과 이야기들을 풀어나가 보려한다. 전자과를 졸업했지만, 전기과는 아니기에, 사실 전력 쪽 지식이 크게 없긴 하다. 이제서야 공부하는 감은 없지 않지만, 개인 공부할 겸 올리는 사항이니 자세한 정보까진 들어있지 않더라도 양해 부탁한다. ◈송전, 말 그대로 전력 수송이다. 어디서 오는 전력을 수송할까?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보낸다. 이때 송전탑을 통해서 각 변전소로 보내는 과정을 송전이라고 한다. ◈저~ 멀리 바닷가 근처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전선들을 타고 우리 집 근처까지 와야하니, 길게는 수 백 km를 전기가 오려면 필연적으로 손실이 발생한다.(전기 입장에선 눈깜작할 시간이겠지만... 그래도...) 손실 전력과 관련된 수식도 따로 있는 것 같지만 그것까지 언급하진 않겠다. 아,.. 2021. 7. 13.
[전자이론] 전압, 전력, 에너지에 대해서 전압, 전위차, 압력, 전력, 힘, 에너지 전류에 이어서 전압입니다. 포스팅할 때마다 계속 말하겠지만, 제가 개념을 정리하면서 공부하려는 성격이 크기 때문에 혹시 해당 정보들이 필요하다면,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길 바랍니다. 무겁게 공부할 거면 전문적인 책을...추천합니다.. 전압(電壓, electric pressure) 혹은 전위차(電位差,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는 전기장 안에서 전하가 갖는 전위의 차이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영어 명칭은 Voltage이며 전기 회로에서는 전기 회로의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를 뜻합니다. 한 마디로 전기의 압력정도로 이해하면 쉽다. 전기는 물로 비유하기 때문에 수압으로 이해해도 괜찮다. 수압이니까, 높은데서 낮은데로 흐릅니다. 전위차.. 2021. 6. 23.